피그말리온 효과는 교육심리학에서 심리적 행동의 하나로 교사의 기대에 따라 학생의 성적이 향상되는 것을 뜻하는 말로 미국의 사회심리학자인 로버트 로젠탈에 의해 개념이 정의되어 로젠탈 효과라고도 합니다. 대상에 대한 기대가 크면 클수록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피그말리온 효과에서 피그말리온이라는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조각가 이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피그말리온이라는 조각가는 상아로 여인을 조각하다가 여인상과 사랑에 빠지게 됩니다. 피그말리온은 여인상에 갈라테아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신에게 여인상을 사람으로 만들어 달라고 기도합니다. 기도를 들은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가 감동하여 여인상에 생명을 불어넣어 주었다는 그리스 신화 이야기입니다.
피그말리온 효과는 이야기에 따라 간절히 원하면 이루어진다는 의미에서 사용하기도 하지만 교육심리학의 관점에서 보면 다른 사람들로부터의 기대와 관심이 긍정적 결과로 이어진다는 뜻으로 사용합니다. 무언가에 대한 믿음, 기대, 예측이 실제로 일어나는 경향을 말하기 때문에 자성적 예언, 자기 충족적 예언이라고도 합니다.
사회심리학자인 로버트 로젠탈은 심리학 실험으로 학생들에게 쥐를 통한 미로 찾기 실험을 시켰는데 쥐가 미로를 잘 빠져나오는 그룹과 그렇지 못한 그룹, 두 그룹 간의 실험 결과에서 차이를 발견합니다. 미로를 잘 빠져나온 쥐가 속한 그룹은 학생들이 쥐를 정성으로 돌본 반면 그렇지 못한 그룹에 쥐에게 큰 신경을 쓰지 않았던 것입니다. 이에 로젠탈은 쥐에 거는 기대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는 생각이 들었고 교사와 학생 간에도 적용될지 궁금해졌습니다.
이에 로젠탈은 샌프란시스코의 한 초등학교에서 하버드식 돌발성 학습능력 예측 테스트라며 무작위로 선정된 20%의 학생들의 성적이 향상될 것이라고 담임선생님에게만 알려주었습니다. 8개월 후 학생들의 성적이 실제로 향상되었고 이는 선생님의 기대와 관심이 학생의 성적 향상을 이끌게 된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되었습니다.
이 실험을 바탕으로 로젠탈은 피그말리온 효과라는 이름을 붙였고 교육 및 조직관리 환경에서도 이론이 적용되어 왔습니다. 심리학에서는 타인이 나를 존중하고 나에게 기대를 하면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의미로 사용되며 교육심리학에서는 교사의 관심이 학생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합니다.
댓글